본문 바로가기
꿈과 뇌 과학

렘 수면이란 무엇일까? 수면 과학의 판도를 바꾼 발견과 그 주인공들

by 미소로그 2025. 10. 1.

 

렘 수면이란 무엇일까? 수면 과학의 판도를 바꾼 발견과 그 주인공들

사람의 수면은 단순히 '잠을 자는 시간'이 아닙니다. 실제로 우리는 자는 동안 뇌 활동이 더욱 활발해지는 특별한 상태를 겪고 있으며, 이 상태는 우리의 기억, 감정, 심지어 창의성까지 좌우합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렘수면(REM 수면)'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렘수면에 대해 단순히 꿈을 꾸는 시간 정도로만 알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렘 수면이란 무엇일까? 렘수면의 과학적 정의, 뇌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놀라운 현상을 최초로 발견한 학자들의 이야기를 상세히 풀어보겠습니다.

 

 

렘 수면이란

 

 

1. 렘수면이란 무엇인가?

렘수면(REM, Rapid Eye Movement)은 수면의 한 단계로, '빠른 안구 움직임'이 특징입니다. 이 단계에서 사람의 뇌는 깨어 있을 때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활발하게 작동하며, 대부분의 꿈이 이 시기에 발생합니다.

렘수면은 수면 주기 중 약 90분 간격으로 반복되며, 한 번의 수면 동안 4~5회 나타납니다. 이 단계는 전체 수면 시간의 약 20~2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기억의 정리, 감정의 통합, 창의력 자극 등 다양한 정신 활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2. 렘수면의 뇌 과학적 특징

렘수면 동안 뇌는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뇌파는 깨어 있을 때와 유사한 저전압 고주파 패턴을 보이며, 특히 다음 영역들이 활발하게 작용합니다:

  • 시각 피질: 생생한 꿈을 형성하는 데 관여
  • 편도체: 감정 반응을 처리
  • 해마: 장기 기억의 정리에 관여

반면, 전두엽 피질은 상대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어, 꿈속에서 논리와 현실에서 벗어난 장면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 같은 뇌의 작동 패턴은 렘수면이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3. 렘수면의 발견- 수면 과학의 전환점

렘수면은 1953년, 미국 심리학자 네이선 클라이트먼(Nathaniel Kleitman)과 그의 제자 유진 아세린스키(Eugene Aserinsky)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이들은 수면 중 아기의 눈이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관찰하고, 그 시기에 뇌파가 변화하며 꿈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입증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수면은 '비활성 상태'로 여겨졌지만, 이 발견을 통해 수면은 뇌가 활발히 작동하는 매우 복합적인 상태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3-1. 네이선 클라이트먼

클라이트먼은 현대 수면학을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인간의 생체 리듬과 수면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이후 수면 연구소와 임상 수면의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3-2. 유진 아세린스키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아세린스키는 클라이트먼의 지도 아래 수면 중 안구 운동과 뇌파 변화를 정밀하게 기록했고, 그 결과로 렘수면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학계에 도입되었습니다.

 

 

4. 렘수면의 기능- 왜 중요한가?

렘수면은 단순한 현상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뇌 기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 기억 통합: 학습한 정보를 장기 기억으로 저장
  • 감정 조절: 스트레스와 감정 반응을 재구성
  • 문제 해결: 창의적 연결과 통찰력 향상

실제로 창의적인 사람일수록 렘수면의 질과 양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꿈속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이나 연구로 이어진 인물들도 많습니다.

 

 

5. 꿈속에서 해결한 문제

저는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한동안 콘텐츠 아이디어가 전혀 떠오르지 않아 꽤 큰 스트레스를 받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며칠간 고민 끝에 그냥 포기하고 푹 자자고 결심했죠.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날 꿈속에서 아주 독특한 장면이 떠올랐습니다.

그 장면은 마치 강의실에서 '수면 중 창의력'에 대한 강연을 듣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고, 강연자가 칠판에 'REM'이라는 단어를 강조하며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그 꿈에서 깨자마자 스마트폰 메모장에 내용을 정리했고, 그걸 바탕으로 콘텐츠를 구성해 글을 썼습니다.

 

 

6. 렘수면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

1) 수면 루틴 유지

매일 같은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것은 렘수면 주기를 안정화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2) 수면 환경 개선

어두운 조명, 조용한 공간, 적절한 온도는 깊은 수면을 유도하고 렘수면 시간을 늘려줍니다.

3) 자기 전 스마트폰 사용 줄이기

블루라이트는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해 수면 리듬을 깨뜨립니다.

4) 꿈 일기 작성

꿈에서 얻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록하면 무의식적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7. 렘수면, 인간 정신 활동의 숨은 핵심

렘수면은 단순히 ‘꿈을 꾸는 시간’이 아닙니다. 이 단계는 기억을 정리하고, 감정을 다루며, 창의성과 사고를 자극하는 인간 정신 활동의 핵심 과정입니다. 렘수면을 발견한 과학자들의 집요한 연구는 수면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완전히 바꿔 놓았고, 우리는 그 성과 덕분에 지금도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